오늘의 활동을 정리해 봅니다.
유시민의 국가란 무엇인가를 마저 읽었어요. 20페이지 가량 남겨두고, 내키지 않아서 두고 있다가 잠자리에 누웠는데 잠이 오지 않길래 읽어내렸지요.
문제는 여론이 청와대의 특검 어깃장을 곱게 볼 것이냐에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청와대는 2009년 미디어법 처리나 4대강 사업 관련 예산안 처리과정 등 새누리당이 여야 합의는 내팽개친 채 날치기로 통과시킨 사안을 문제삼은 바 없다. 
청와대, 내곡동 사저 특검 후보자 ‘거부’ [www.ohmynews.com]
며칠 전 위키피디아의 웹 브라우저 점유율 페이지의 국가별 웹 브라우저 1위를 보다가 매우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다. 바로 북한에서 파이어폭스가 1위였던 것이다. 이 통계는 국내에서도 많이 인용되는 StatCounter라는 업체의 월간 데이터를 기반하는 것이다. 
북한에도 아이폰이 있다? - Channy’s Blog [blog.creation.net] 북한의 브라우져 점유율에 관한 이야기인데, 북한의 IT 역량에 관해서는 논의가 분분합니다. 다만, 저는 아래 글이 설득력 있어보이더라구요
그 당시 바세나르 조약에 의거해서 대표적으로 북에 수출이 금지되어 있던 품목이 486급 CPU였습니다. 그러나 북한은 일본의 조총련을 통해 이미 그 정도의 HW(하드웨어)는 충분히 밀수를 하고 있더군요. 다만 선생님 없이 독학하는 학생들의 입장이고 HW적인 뒷받침이 안되니 그냥 맨땅에 헤딩하는 식으로 SW개발을 하고 거기에서 스스로 감탄(?)하고, 그 자뻑이 남한 쪽에 과대포장되어 북의 SW기술이 대단하다는 식으로 와전되었던 거죠. 
평양방문기|딴지일보 [www.ddanzi.com] 결론은 SW기술은 입소문으로 와전된 것이지 별 것 없을 가능성이 크다.
한국 직장인의 한해 평균 휴가 일수는 8.8일.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 가장 짧다. 핀란드인의 휴가는 세계 최장 수준(30일·마케팅 컨설팅사 '머서' 조사)으로 한국의 3배가 넘는데도 핀란드 정부는 별도의 '안식년 제도'를 운영한다. 
[2011년 한국인이여 행복하라] 핀란드 "일 때문에 살맛"… 한국 "일 때문에 죽을맛"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news.chosun.com]
가. 연차 유급휴가를 30일로 확대하고 그 기간이 연속하여 15일 이상이 되도록 하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의 한도를 25일에서 50일로 확대함(안 제60조제1항, 안 제60조제4항). 
근로기준법 일부개정법률안 [www.kefplaza.com]
일단 여기까지 하고, 내일부터 스터디 하기로 한 생각의 완성 책을 보아야겠어요. :)
전체적으로 보면 유시민은 확실히 글을 잘 쓰는 작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책이 쓰여진 시기로 볼때, 통진당 사태를 전혀 예측하지 못하고, 노선의 단일화에 대한 이론적 토대로 삼고 싶어했을것 같다는 추측도 조심스레 함께 하구요. 어쩔 수 없는 현실 정치인이니까요 ^^;
국가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그 시각이 현시점까지 미치는 영향력을 검토한다는 점에서 제목 뿐만 아니라 형식도 '마이클 샌덜(샌들?)의 <정의란 무엇인가>'와 닮아 있어요. 다만 개인적으로 맑시즘에 대한 평가와 베른슈타인에 대한 이야기는 동의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어요. 그 내용은 차차 정리해 볼께요. 그리고 맑스 베버를 공부해 보고 싶다는 생각도 함께 들었네요.
아침에 처음 접한 뉴스는


이제 무얼 해도 놀라지 않겠어! 라고 다짐하지만.... 휴압; 정말 12월에 선거 잘 해야겠어요.
다음으로 접한 정보는
모바일 시대의 출판마케팅 from Hosung Son
이라는 슬라이드인데요. 내용도 알차고, 한번 모셔서 직접 강연을 듣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자료에요. 자료만으로는 채워지지 않는 부분이 있네요. :)




오후에 있을 Nora 앱 기획회의를 위해서, 자료조사를 해 보았습니다.




큐레이션이 불가능한 페이지는 stats.oecd.org로 OECD 통계 페이지인데, 페이지별로 쿼리로 자료를 불러오는지라 불가능 하네요.
대한민국의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44.6시간, 연간 노동시간은 2090시간 (OECD 평균 1776시간, 2011년 기준) 입니다.
Log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