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TV의 한계를 5가지 관점에서 짚어본 글이 인상적입니다. 윤석찬님에 따르면 경쟁사 직원이 쓴글이라고 하는데, 어딜까요?^^^

"발표된 내용으로 본 다음 TV Risk" http://t.co/9NNKPbr3 일리있는 지적입니다.쉽지 않은게 사실이고 꼭 유념해야 할듯. 글쓴이가 경쟁사 직원이지만 이런 '관심'이 바로 '애정'이라는 사실... #fb
2012/4/25 3:43 오후
2012/4/25 3:43 오후
글은 5가지 관점에서 다음TV의 리스크를 부각합니다. 개선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그러나 지나치게 낮은 하드웨어 스펙, 부족한 컨텐츠, 새로운것이 하나도 없는 킬러앱의 부재, 오프라인 서비스 접점, 유통망 문제, 좋지 않은 경쟁사 동향과 시장 관점입니다.


UI 관점에서 정리한 블로그 포스팅도 볼만합니다.


트위터에도 다음TV와 관련한 얘기가 계속 올라오고 있습니다. 결과가 나올때까지는 계속 긍정과 부정적인 의견들이 섞여 있을 듯.
KT가 다음TV라고 셋톱박스형 스마트 인터넷TV에 대해서도 사용료 내라고 했네요. 내가 이래서 KT앞으로 절대 안쓸 생각입니다.... http://t.co/A1d8AUVv
2012/4/24 10:13 오후
2012/4/24 10:13 오후

@oojoo 유통을 하는 것이 쉽지 않겠지만, 스마트 TV의 본질에 기반한 전략을 수립하셨다는 생각이 듭니다. 살짝 소름이 돋는 느낌도 받았는데 저만 그랬을까요? ^^ - 다음TV의 비전과 전략, http://t.co/ue0YYx7d
2012/4/23 3:45 오후
2012/4/23 3:45 오후

(2012.04.24) Commentary: 다음TV가 노리는 것은 무엇?; 싸이월드 부활, 실낱같은 희망은 SNG; CJ E&M의 해외 시장 재도전, 보다 치열하고 절실한 사업의지를 갖느냐가 관건 https://t.co/eGj8XZGe
2012/4/24 5:56 오후
2012/4/24 5:56 오후

다음TV가 시장에서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그 이유는?: 예나 지금이나 TV라는 하나의 Box는 우리에게 많은 즐거움을 안겨주고 또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http://t.co/CWcoI5iq
2012/4/25 10:27 오전
2012/4/25 10:27 오전
Login to comment
batmask
4/28 '12
answered
대부분 내용이 나온듯 하지만, 몇개 더 인용해 봅니다. 개인적인 의견도 살짝...
다음 TV관련 블로거 행사도 있었나 보네요, 한 블로거의 언박싱 리뷰.
쇼케이스에서 다음이 발표한 내용도 볼 수 있군요.

다음(DAUM)의 새로운 도전! 다음TV플러스 쇼케이스 그 현장에 가다! http://t.co/Pthb3Wfk 클리앙의 다음TV 리뷰에 대한 댓글들.. http://t.co/48LSSskF
2012/4/27 3:28 오후
2012/4/27 3:28 오후
어떤 서비스나 제품이 먹히냐, 안먹히냐는 논쟁은 소모적이라는데 저도 손을 들겠습니다만, 예측해 보는 것도 나름 흥미로운 일이죠.

Daum TV+ 홈 http://t.co/EHq8ihGB 될거냐 말거냐 소모적인 예언은 그만. 좀 안 될 거 같아도 지금 시도하는 것 자체로 의미가 크다고 봄. 기왕 시작한 거 흐지부지 되지 않고 잘 해내길 응원.
2012/4/26 9:29 오후
2012/4/26 9:29 오후

다음TV, 이제 시작이다 http://t.co/sHfYIQxA 다음TV가 타임라인에서 많이 화제가 되고 있는데 실제로 어떤지 많이 궁금. 다만 대체로 1백불이하인 로쿠등 미국의 인터넷셋탑박스에 비해 가격이 많이 비싸보임.
2012/4/27 10:55 오후
2012/4/27 10:55 오후
써보고 경험해봐야 제대로 알게된다는 지론입니다만, 공개된 정보만으로 판단하건데, 다음TV는 좀더 제대로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느낌이 드네요. 어떤 느낌이냐면, 가전제품 스러운 점이랄까요. 특별히 뛰어난 컴퓨터 기능을 광고하지도 않고, 뛰어난 컨트롤러가 중심에 있지도 않고, 무료 컨텐츠 제공으로 문지방(?)도 낮추고... TV에서 컨텐츠를 어떻게 소비하느냐에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보여서 말이죠.
비록, 위 인용된 글 내용대로 컨텐츠의 양적인 문제, KT의 스마트TV 사용료 태클, 낮은 HW사양으로 인한 고화질 영상 재생에 대한 우려등 넘어서야 할 장애물도 많아 보입니다만,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오히려 환상속의 iTV가 실체를 드러내는게 더 큰 위협이 되지 않을까도 생각해 봅니다. 아... 국내엔 영향을 못주려나요? ^^
Login to comment
경쟁사라 ... 대충 짐작이 가는데요.
경쟁사라... 어딜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