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에 조용히 업데이트된 내용입니다만, 전세계 현존하는 어떠한 큐레이션 방식보다 편하고 강력하다고 자부하고 싶은 북마크 버튼을 탑재하게 되었습니다.
editoy bookmarklet 2012/4/16 4:27 오전


2. 그 다음에는 큐레이션을 하고 싶은 곳으로 갑니다. (신문, 블로그, 게시판 등등?)
인용하고 싶은 문장을 마우스로 선택하신 후에 editoy 북마크 버튼을 누르면, 그 부분만 정확히 담아 둘 수 있습니다. 아니면 그냥 editoy북마크 버튼을 우선 누르고, 선택하신 후에 '선택부분 담기' 버튼을 눌러도 똑같은 효과가 납니다.
사진도 함께 큐레이션 가능합니다. 큐레이션 할만한 크기(30,000픽셀 이상)의 사진이나 그림에는 핀 모양이 나타납니다.

그 그림을 눌러 주시면 그림의 출처와 함께 나중을 위해 '북마크 큐레이션 박스'에 담깁니다. 여기에 인용구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마우스로 인용문자을 선택 후 선택부분 담기를 하시면 됩니다.

네이버 블로그와 같이 다중 frame과 자바스크립트로 숨겨놓은(?) 곳도 알아서 장식요소를 없애줌으로써 큐레이션이 가능합니다.
3. 트위터나 페이스북의 경우는 더욱 쉽습니다. twitter.com이나 facebook.com의 어느 곳에서든 editoy 북마크 버튼을 누르면,
버튼이 여기저기 나타납니다. 얘네들을 누르시면 바로 큐레이션 박스에 담깁니다.


트위터의 경우, 트위터의 링크만 있는 곳이면 다른 곳에서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Daum의 검색결과?

4. 충분히 모으신 뒤에 'editoy 편집' 버튼을 누르시거나, 아니면 다른 큐레이션의 답글 편집란으로 가셔서
버튼을 누르시면


지금까지와의 방식대로 드래그하셔서 본문에 인용하시면 됩니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이!!



(물론 베타답게 버그가 있을텐데요, 신고 부탁드립니다)
Login to comment
goodhyun
4/25 '12
answered
안녕하세요. 먼저 각 브라우저에서 북마크바(북마크툴바, 또는 즐겨찾기모음)를 표시하셔야 한답니다.
브라우저 툴바의 공구모양 아이콘 을 클릭합니다.
북마크를 선택합니다.
북마크바 항상 표시를 선택합니다. 
북마크바 사용 - Google 크롬 도움말 [support.google.com]
The Bookmarks toolbar is hidden by default. To turn it on or back off:
Right-click on an empty section of the Tab Strip and select Bookmarks Toolbar in the pop-up menu. 
북마크 도구모음 사용법 | 길잡이 | Firefox 도움말 [support.mozilla.org]
새 탭 단추 오른쪽의 빈 공간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하고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즐겨찾기 모음 
즐겨찾기, 명령 및 상태 표시줄 표시 또는 숨기기 [windows.microsoft.com]
How to enable the Bookmarks Bar:
Open the O Menu
Select "Toolbars"
Check the check mark for "Bookmarks Bar" 
Opera Desktop Team - Hello Bookmarks Bar [my.opera.com] Chrome을 쓰신다면, 간단하게 Ctrl-Shift-B. :D








Login to comment
goodhyun
(6/11 '12)
네, 현재 IE 8이하에서는 애로사항이 많습니다. 조금 더 살펴 보고, 북마클릿의 공식지원은 모던브라우저(IE9이후, 크롬, 파폭, 사파리, 오페라 등)만으로 해야 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nomodem
5/29 '12
answered
(5/29 '12 edited)
와 진짜 신기하군요.
이 게시물을 읽을때는 '우측에 파란색버튼'이 존재하지 않고, 본문안에 파란색버튼이 존재하니 그 부분을 살짝 수정해주시면 더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쓰고보니 스타트페이지와 달리 약간 내려와서 우측에 있군요.
editoy.com 스타트페이지에는 최상단우측 부분에 파란버튼이 있는 반면, 이 글을 읽을때는 같은 위치에 버튼이 보이지 않아서 ,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Login to comment
우와, 정말 멋진 기능입니다. 사용해봤는데 훌륭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