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정역에서 나오자마자 보이는 이 낡은 건물. 메들리 노래방, 한류시대(?), "축지법과 비행술(!)"이 입주중.



30년전의 특집호가 매우 시의성 높습니다..
컴퓨터학습 88년 5월호 reloaded [wehong.tistory.com] 아아...
[컴퓨터 학습] 민컴 고전 컴퓨터 잡지 [www.msxzone.com] 이런 커뮤니티가 있는지 몰랐습니다. 체크!
김명신의 즐거운 하루 : 컴퓨터 학습 [himskim.egloos.com] 제비우스의 충격에 버금가는 것이 요즘에 뭐가 있을까요?
컴퓨터학습 1984년8월호 :: 네이버 블로그 [blog.naver.com]
20여년 전의 추억: 마이크로소프트 !! 컴퓨터학습 85년 7월호 [www.xevious7.com]
시대의 유물 2탄 -컴퓨터학습- [psosyai.egloos.com]
그러나 이 곳은 컴퓨터학습 터(址).




80년대 월간 컴퓨터학습(마이컴)이 있던 곳. 당시 컴퓨터를 좋아하던 중고생들은 컴퓨터를 좋아하던 아줌마,아저씨들과 이 곳에서 8비트 문화를 만들었지요. 나도 크면 그런 아저씨가 되고 싶었는데... http://t.co/nX3aJiH2
2012/3/9 10:53 오전
2012/3/9 10:53 오전


@goodhyun 오우,내가 80년대 초까지 그곳에서 근무했었는데...학생들이 그곳에 찾아오기도 했었고..아,그립네.그런데 사진은 요새 찍었나보네.그때 컴퓨터 배우는 열풍이 일었지.
2012/3/9 11:17 오전
2012/3/9 11:17 오전
페이스북에서도 추억은 새록새록...
80년대 월간 컴퓨터학습(마이컴)이 있던 곳. 당시 컴퓨터를 좋아하던 중고생들은 컴퓨터를 좋아하던 아줌마,아저씨들과 이 곳에서 8비트 문화를 만들었지요. 나도 크면 그런 아저씨가 되고 싶었는데... http://t.co/nX3aJiH2
2012/3/9 10:53 오전 "8비트 키드의 생애" 라는 영화 주인공으로 추천.. 2012/3/9 11:07 오전
합정역 네거리군요....이제는 최고급 주상복합 타워가 자리한 곳...그리고 한류시대란 간판이 ㅇㅎㅎ 인상적이네요. 2012/3/9 11:09 오전
한동안 공중부양을 가르치는 곳이었던것 같은데 노래방이 됐네요.ㅋㅋㅋ 2012/3/9 12:57 오후
마이컴에 올라오던 BASIC 소스덕에 지금 프로그래밍으로 밥벌어먹는 제가 있습니다. ㅎㅎ 아직도 기억에 남는 소스는 QuickBasic 용 게임 소스군요. peek poke 명령으로 비디오메모리 건드려서 텍스트모드의 기본 글꼴을 비행기 모양으로 바꾸던 소스. ㅎㅎ 2012/3/9 1:43 오후
마이컴.. 제가 초등학생때 즐겨보던 잡지였는데, 사라져서 아쉬워요... 2012/3/9 1:48 오후
그나저나 저 축지법과 비행술 궁금해지고 싶기도 하네요... 들어가 볼껄 2012/3/9 6:08 오후
오늘은 추억에 빠지고 싶은 주말. 트위터를 되돌아 봤습니다.
네 헐리우드 키드보다 알찬... 80년대 8비트 키드. 88키드?
음... 잡스 덕에 컴퓨터학습을 추억하게 되곤 하는군요...

내가 잡스라는 존재를 처음 인지했던건 중학교 1학때 당시 미친듯이 탐독하던 '마이컴'이라는 잡지때문이었다. 난 당시 IBM호환 계열의 XT 컴퓨터를 사용할때라 친구의 애플 컴퓨터도 무지가지고 싶었는데 애플의 창업자가 넥스트라는 회사를
2011/10/6 9:46 오전
2011/10/6 9:46 오전

국민학교 시절, 마이컴(구컴퓨터학습)과 피시어드밴스 구독자였던 나의 방에는 두 우상, 젊은 잡스와 워즈니악이 창고 앞에서 찍은 흑백사진 포스터가 붙어있었다. 해커가 꿈이었던 꼬맹이는 전화를 공짜로 쓰고 CIA의 표적에 되었던 그들의 영웅담에 가슴뛰었다
2011/10/7 8:15 오후
2011/10/7 8:15 오후

@kinophio 게임잡지의 경우 90년대 초반 문장을 보면 뭔가 수준이하? 라고 해야 되나 좀 구시대스러운 부분도 제법 보이는데, 역시 명불허전. 컴퓨터학습과 마이컴은 지금 봐도 세련된 문장인 거 같습니다
2011/10/9 12:54 오전
2011/10/9 12:54 오전

@SabotenD 컴퓨터학습과 마이컴은 정말 훌륭한 잡지라고 생각(물론 외국잡지 무단복제도 숱하게 했지만 그거야 그 시대가 원래 그랬으니). 특히 90~91년의 마이컴은 한국 잡지계의 레이아웃 디자인과 트렌드를 멀찌감치 앞서간 선구자라고 생각
2011/10/9 12:56 오전
2011/10/9 12:56 오전
네, 당시 잡지에는 혼이 있었...

'컴퓨터학습'의 마지막 해였던 89년 표지. 박인실이라는 분의 페이퍼 크래프트로 구성한 표지는 지금 봐도... CS때나 마이컴 때나 민컴 잡지들 표지 때깔은 다 멋졌던 것 같다. http://t.co/MAfA0m50
2011/12/25 5:52 오후
2011/12/25 5:52 오후

『 Apple II+를 구입하고 이 잡지를 샀는데 기사에 IIe 소개 기사가 나와 속상하기도 했었고
특집에 나온 워드프로세서에 대해서는 개념 정립도 잘 안되어 있었으며
게임리뷰의 울티마V 소개에는 실행화면 하나 없어 게임설명만 읽고 전혀 다른 플레이 방식을 상상했었다. 』
『 MSX 애플등 1985년 부터 1989년까지 컴퓨터 학습이라는 잡지가 나왔습니다. 민컴이고요 나중에 1990년 마이컴으로 바꾸어 발행하다. 1998년 IMF로 부도 난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 그 책을 그때 샀는지 아니면 나중에 어머니를 졸라서 샀는지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
"제비우스 1000만점 돌파의 비결" 는 "컴퓨터 학습" 이라는 컴퓨터 전문 월간지의 권말부록 특집 기사였던 것이다. 』
오늘 큐레이션 놀이 중 가장 충격... 무려 SM의 이수만 회장.

『 그 때 금성에서는 FC-100이라는 기종과 FC-150이라는 기종이 있었고 10만원대의 FC-30도 있었다. 그 중 FC-100이 가장 인기있던 기종이었다. 그 때 난 BASIC을 배웠다. 교재에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구조와 논리를 설명해 주는 내용은 많지 않고, line, sound, play 같은 흥미위주의 기능 위주로 설명해 놓았던 기억이 난다. 』
그리고 오늘의 멘트
『 갑자기 하루키의 말이 생각난다. " 내가 20살일때는 20년이 흐르면
40살이 된다는 단순한 진리를 알지 못했습니다."
누구나 20년이 흐르면 자기나이 더하기 20살이 되는 것이다. 』
인생을 달리 만들 미디어, 지금 유년들에게 그건 무엇인가요. 네?....

『
(추억의 삼성spc 부모님한테 공부한다고 졸라대지만.. 실제론 다 게임때문이죠 -_- 대놓고 광고..)
아무튼, 이 잡지 때문에, 제 인생이 달라졌다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
웹에서 발굴을 시작하다 보니 도저히 끝이 없이 많은 추억이 쌓여 있어요. 생각을 삼키지 말고 적어놔야겠다고 다짐하게 됩니다. 미래의 역사가를 위해, 미래의 나를 위해.
Login to comment
저역시 집에 마이컴 두권이 있는데 버리지 않길 정말 잘했다는 생각이 새록새록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