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딥패킷인스펙션(DPI)에 대한 조항에는 국가의 인터넷 정보 검열, 심지어 암호화 된 콘텐츠도 열어볼 수 있는 권한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에는 인권침해의 우려가 크다. (수잔) #권력전쟁

여기 온 사람들이 모두 더 열린, 더 자유로운 인터넷을 위해 싸우는 사람들이 되기 바란다. 열린 인터넷이 사람들에게 주는 이익이 몇몇 네트워크회사가 가져가는 이익보다 훨씬 중요하기 때문이다. (수잔) #권력전쟁

앞으로 이번 ITR에 사인한 나라들을 찾아다니며 열린, 자유로운 인터넷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하고 설득할 생각이다. 현대사회에 사람들이 인터넷 표현의 자유를 갖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수잔) #권력전쟁

왼쪽으로 갈 수록 이코노미스트 저널이 선정한 민주적 국가, 오른쪽으로 갈 수록 민주적이지 않은 국가. 민주 국가 중 ITR에 사인하지 않은 국가 (녹색표기) 가 더 많다 (전) #권력전쟁 http://t.co/AigeWjMC


카카오톡 MVoIP에 대해 말씀 중. 외국 기업 스카이프는 되는데 카카오톡은 국내 네트워크 회사들의 큰 반대를 샀던 이유는? (다중적 이해관계자를 존중하지 않는, 망중립성이 보장 되지 않는 상황) (전) #권력전쟁

박윤정 교수님의 주장 프레임은 미국vs.세계이구나. 다른 분들은 국가vs.기업과 시민 프레임으로 얘기하고 있고.... 기업과 시민을 미국 정부가 비호한다는 것 자체가 다른 국가 정부들은 편하지 않을 수 있겠군. 일면 타당하네 by cckorea

신하영님의 지적: 국가가 dpi를 할 수 있다고 해도 시민을 억압할 기술이 없으면? 국가보다도 큰 힘을 갖는 초국가적기업 (주로 미국에 근간을 둔) 이, 국가 아닌 멀티스테잌홀더에 권한이 돌아갈 때 국가 이상의 파워를 행사할 수 있다 by cckorea

박윤정 박사: 국가 대 시민의 흑백구도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이번 ITR은 현재 미국 중심으로 셋팅 된 인터넷을 글로벌 분화된 거버넌스로 재개편할 수 있는 기회일 수도 있다. 본격적인 효력은 2015년 1월부터 #권력전쟁
Login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