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3 개발자 컨퍼런스는 스마트 모바일의 선두주자 kth 의 직원들이 외부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개발 뿐만 아니라
기획/디자인 분야까지 다양한 노하우를 공개함으로써
지식을 공유하는 컨퍼런스 입니다.
올해로 2회째 행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발표 내용을 대부분 잊지만 이미지는 오래 간직하므로...
KTH 부사장님의 baas.io 에 대한 키노트 보고 일단 첫 섹션 장소로 이동.
baas.io 는 생각했던 서비스의 형태였는데 내년말까지 로드맵에서 좀 더 멋지구리해질 요소들이 좀 보여서 개인적으로는 꽤 관심이 갔던.
저런거 만드는것도 잼날 것 같은데 말이죠^^
이제 그럼 첫 섹션 듣기 시작~
첫번째 섹션은 오늘 나눠준 책자에 없는(^^) 그리고 뭘까 궁금해서 들어온 'Cloud Database Service - Hulahoop' ...
KTH의 분산파일시스템인 PrismFS v2.0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NoSQL 이라고 정리할 수 있을듯.
대략 구조등은 요즘의 NoSQL 몇가지와 은근 비슷.(사실 그걸 크게 벗어나기도 애매할 것 같음)
맘에 드는(?) 특징은 SQL, Python Script 의 지원.
이런 저장소를 Service로 확장하기 위해서 REST server를 두고 AWS API들을 동일하게 지원해서 S3 지원하는 툴들이 동일하게 지원하게 했고, baas.io 의 스토리지로도 사용된다고 함.
나중에 baas.io 공개되면 살펴보면 될듯함^^
점심 간단히 먹고(작년과 동일한 샌드위치 + 애플주스...구루님의 설명이 없었다면 이 샌드위치가 유명한(?) 것인지 몰랐을 것 같아요^^) 다음 장소로 미리 이동해서 에어 켜고 놀고 있는데(오랫만에 에어용 외장 배터리도 들고온^^) 올해 주제가 밴드라고 하셨던가..H가 헤비메탈이라고...그래서 그런지 고딩때였나 한때 좋았던 곡들이 은근 나와주니 왠지 옛날 생각도 나고 좋은^^ 이런 컨퍼런스 와서 헤비메탈 노래만 쭉 듣게 되는 것도 신기한 경험^^ 왠지 빠른 비트에 신나니깐 괜히 겜하고 있는 나도 신나서리...레이싱 겜을 넣어올껄 그랬나^^
항상 좋을 수만은 없는 법...
참석할 시간이 없어 내용은 확인 못했지만 세션 소개만 보면
이 분은 스프링의 진면목은 모르고 웹 MVC 기능만 조금 써보신 분 같네.
단순히 새로운 웹 프레임워크 소개를 하려는데 흥행을 위한 문구였다면 좀 과했다.
페이스북에서 많은 다른 분들도 지적했지만 소개문의 치명적인 오류를 3개만 지적하자면..
1) '수많은 웹프레임웍들이 스프링의 아성에 도전'
스프링은 웹 프레임워크 전용은 아니며, RESTful 웹 서비스를 위해서는 스프링 웹 MVC를 쓸 수도 있지만, 스프링 개발팀 스스로도 또 다른 옵션으로 Spring Data - REST(http://www.springsource.org/spring-data/rest)를 만들어 가고 있다.
이렇듯 스프링은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실현할 수 있는 플랫폼이지 웹 프레임워크라고 보긴 좀 그렇다.
굳이 꼭 스프링의 기능을 한정 지으려면 IoC/DI 등을 언급해야 할 것 같고..
비타500에서 과일향 난다고 과실음료로 분류하진 않는 것처럼... (이건 좀 과한 비유인가..ㅡㅡ;)
개인적인 생각에는 오히려 Servlet 스펙 자체가 더뎌서 기본적으로 이를 확장하는 스프링 웹 MVC의 한계점이 드러나는 것이 아닌가 정도 생각은 들지만..
1번은 너그럽게 보면 이렇게 쓸 수도 있겠지 싶다가도
2) 스프링도 스트러츠의 아성을 허물고 지금의 자리를 차지
이건 너무 코메디다. 스프링이 굳이 어떤 아성을 허물었다면 그것은 EJB 프로그래밍 모델이지. 스프링은 초기부터 스트러츠와 함께 쓸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3) 왜 우리는 스프링이 영원할 것처럼 매달리는 것일까?
누가 과연 스프링이 영원할 것처럼 매달릴까? 소개문 내용대로 로드 존슨은 떠났다.
KSUG 활동을 하면서 스프링에 매달리는 사람을 본 적은 없다. ^^
http://h3.kthcorp.com/2012/session/index/S038
봄날은 간다 - KTH H3 2012 h3.kthcorp.com kth 앱스프레소랩 장동수입니다. 프로젝트 관리자로 잠깐 외도했다가 최근에 코딩쟁이로 돌아온 20세기 개발자입니다. 21세기 개발자로 거듭나기 위해 Scala, Akka, Node.js, MongoDB 등의 최신 기술을 닥치는 대로 공부하고 있지만 아직은 20.5세기에서 헤매고 있습니다.May the Source be with you...
이번 세션은 node.js 의 번외편 같은 세션^^
써보려고 하는 하루프레스등의 설명도 괜찮았지만, 아두이노하고 연계해서 잼난(?) 데모를 보여주셔서 재미있었다는.
사실 이런 기기 제어 데모야 무슨 언어로든지 만들 수 있겠지만, node로 간단히 만들어볼 수 있다는 걸 보여준 자리로 괜찮았던 것 같음.(과거 임베디드 하면서 기기에 장난치고 추억(^^)도 떠오르게 해주던^^)
그러고 보니 구해놓고 놀리고 있는 라즈베리파이도 활용해보면 잼날 것 같기는 한데..왠지 그외 구성하는 비용이 더 들듯해서리~.~;;; 암튼 발표자분의 의도대로 프론트엔드 개발자도 이런 장난(?)을 시도해볼 수 있다는 보여주신 것 같은 세션있었음.
사용자 로그 분석 관련된 세션에 들어왔는데 사례로 이야기해주는 것들이 재미있는^^ (KTH는 로그 수집에 kafka를 썼군요)
꽤 괜찮은 로그 분석 프레임웍을 구성해두고 있는게 부럽기도 했고..
젤 기억에 남는건 예전 옵티머스의 동티모르 타임존 버그였던 ㅎㅎ^^ (푸딩투의 사용시간 분석중 동티모르에서 올리는 양이 보여서 체크해보니 폰 버그로 한국 타임존이 아닌 동티모르 타임존으로 셋팅되서 그랬다는 이야기~)
전반적으로 사례 발표의 느낌이라 시스템 내용을 더 듣고 싶기는 했는데 살짝 아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