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hapark 8/24 '12 posted

 

좀 지난 기사이지만, 일본사회에 '하산론'이 주목받고 있다고 한다.

이쓰키가 펴낸 에세이집 『하산(下山)의 사상』이 요즘 일본에서 화제라고 한다. 지난해 말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 반열에 올라 지금까지 20만 부 넘게 나갔다. 세계 2위의 경제대국 지위에서 밀려남으로써 일본이 하산길에 접어든 현실을 인정하고, 안전하게 내리막길을 밟아 내려가자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일본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이미 하산이 시작된 것 같다는 이야기도

최근 일본 사회에 ‘하산론’이 유행이라던데 내 생각에 일영, 일드 쪽은 하산 시작한 지 10년 정도 된 것 같다.
앤잇굿? [adman.egloos.com]


  그리고 보면 옛날에 일본 대중문화 개방에 앞서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많았다.  물론 역사적 앙금이 주된 이유였지만, 한국 대중문화는 경쟁력이 없다는 관점도 많았다.  개방이 되기 전에는 가요도 알고보면 일본노래 표절한 것이라는 곡들이 있었고, TV프로그램이나 CF도  사실 일본 것 배꼈다는 이야기들이 심심치 않게 있었다. 지금은 다른 세상 이야기가 되었다.

 

  드라마는 사전 제작이라는 미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생방송'이라고 불릴 정도로 빠듯한 시간에 맞춰 제작하는 데도 불구하고 아시아 여러나라들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영화는  '한류'에서 큰 부분은 아닐지 몰라도, 할리우드에 맞서 한국 정도로 오리지널 스토리를 가진 자국영화 시장이 남아 있는 곳이 얼마 없다고 하니 역시 그래도 선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가요쪽은 거대 기획사 체제덕일까? 요즘은 거대 기획사 체제가 자리잡아 가면서 일단 춤이고 노래고 연습으로 갈고닦은 아이돌들이 많아지면서 자기만의 개성보다 근면성이 돋보이는 연예인들이 많아 보인다. (아이러니하다)

 

  10년전엔 한국도 IMF의 여파에 허덕이고 있을 때였는데. 그래도 10년간 한국 대중문화는 등산(?)을 계속 해 온 것 같다. 이유가 뭘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