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ㅏ...... 기분이 미묘하다. 이것만 바라보고 있던 뮤지션들도 많을텐데.... 아... RT @Dogtune: [ #Roomside]$경$ 아이튠즈뮤직의 대한민국 진출 무산 $축$ http://t.co/Khy6gkfw
2012/7/4 10:57 오전
2012/7/4 10:57 오전

@Dogtune 각 씬마다 뮤지션 생협이라도 차려야 하는 거 아닐까요orz 아...... 너무 속상해요. 시선이 마치 음악 만드는 기계 취급 하는 것 같아요ㅠㅠㅠ
2012/7/4 11:15 오전
2012/7/4 11:15 오전

@dayejung 이통사나 음원 포털의 입장에서 보자면 대놓고 말을 안해서 그렇지 음악만드는 기계 취급하는거긴 하죠. 대한민국의 음악은 공공재거든요...ㅎㅎ
2012/7/4 11:17 오전
2012/7/4 11:17 오전

@Dogtune 음악이 공공재라고 말하려면, 조건으로서 음악가들에게 기본소득을 주던 실업부조를 지급하던 뭘 하던 해야지 이제 공공재라고 말할 근거가 있는 거져 지금은 그냥 다 양아치짓 하는 거임 ㅇㅇ @dayejung
2012/7/4 11:20 오전
2012/7/4 11:20 오전

@danpyunsun @Dogtune 2222 전 결국 음악의 공공재화를 바라긴 하는데 그 이전에 적어도 음악 하는 사람들이 먹고 살고 꾸준히 음악할 수 있는 건 보장이 돼얔ㅋㅋㅋㅋㅋ 그렇다고 법적으로 진짜 공공재도 아니고. ㅠㅠ
2012/7/4 11:23 오전
2012/7/4 11:23 오전

@Dogtune @danpyunsun 그 철밥통이 어디서 오나..도 고민. 어떤 분들은 정부 지원 명목으로 돈 받으면 자유롭지 않다고 하시던데 이해도 가요. 지금 시스템 상으론 음악 듣는 팬들이 만들어주는 게 맞는데 그나마도 제도의 형평성이 죽었슴당ㅠ
2012/7/4 11:27 오전
2012/7/4 11:27 오전

@Dogtune 정부에서 음악이 공공재라 주장하는 것은 음악이 공공재가 되었을 때 생기는 여러 긍정적 사회적 효과를 고려하고 얘기한다기 보다는 음악생산자들은 뭐 개밥이니까 알아서 살아남으시고 근데 니네 음악은 내가 좀 쓰겠당ㅇ 느낌 @dayejung
2012/7/4 11:25 오전
2012/7/4 11:25 오전

@danpyunsun @Dogtune 그 긍정적 사회적 효과를 생각을 하면 뮤지션 복지를 생각하지 않을리가 없는데 말이죠.ㅠㅠㅠㅠ 오픈운동을 하긴 한다만 특히 우리 나라에서 특히 뮤지션들한테는 하면서도 죄송할 때 많아요. 구조부터 시구궁창이라.ㅠㅠㅠㅠ
2012/7/4 11:31 오전
2012/7/4 11:31 오전

국내에서 언글루잇 같은 플랫폼을 음원을 위해 만들면 어떨까 해서 주변 사람들한테 이 아이디어 어떠냐고 물어보고 다니는데, 모두들 망설임 없이 ㅇㅇ 그거 망해. 라고 말해준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왜죠!ㅠㅠㅠㅠㅠ
2012/7/4 11:09 오전
2012/7/4 11:09 오전

@dayejung https://t.co/vY61XY3I 요런 플랫폼 말씀으신가효? 소셜펀딩 같은 개념인가요? 음악은 이런 식으로 하자면 가성비가 엄청 떨어지거든요
2012/7/4 11:11 오전
2012/7/4 11:11 오전

음악은 퍼블리싱을 고려한 포장이 없더라도 번듯한 결과물이 1인 창작으로 나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소셜펀딩으로 꽤 펀드레이징을 했더라도, 피드백을 주고 받아 음악이 완성된다 하더라도 가성비가 떨어집니다. 음악에 대한 소셜펀딩은 아마 fail
2012/7/4 11:14 오전
2012/7/4 11:14 오전

국가에서 아티스트에게 모든 수익을 지급하는 디지털 콘텐츠 마켓을 만든 후 국민에게 위 콘텐츠 마켓에서 판매되는 모든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태블릿을 무상으로 나누어 준다면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
2012/7/4 11:53 오전
2012/7/4 11:53 오전

@HAVAQQUQ 유/무선망을 가진 통신사업자가 돈을 긁어모으는 세상이 되겠지요. 아울러 IP 고갈로 인한 IP_V6 사용이 앞당겨지면서 관련 장비업체만 돈을 벌고... 아티스트들은 그 이후에나...
2012/7/4 12:05 오후
2012/7/4 12:05 오후
@danpyunsun @HAVAQQUQ 아티스트와 소비자 사이에 개입되어있는 여러 직종들이 다 유명무실해지잖아요. 산업의 이익배분을 효율적으로 잘하는게 중요할듯.
2012/7/4 12:04 오후
2012/7/4 12:04 오후

@GrooveCube @danpyunsun 이 생각의 출발점은 1.디지털 시대 아티스트와 소비자 사이에 개입되어있는 직종은 줄 수 밖에 없고 2.특정 기술과 자본을 가진 기업이 독점할 가능성이 매우 큰데 3.그들이 독점적 지위를 이용하는 순간
2012/7/4 12:12 오후
2012/7/4 12:12 오후

@GrooveCube @danpyunsun 더 큰 재앙이 올 가능성이 크고 (실제로 이렇게 되고 있고) 4.그렇다면 차라리 국가에서 관리하는 편이 낫지 않을까. 태블릿은 소비를 가속시킬 수 있는 장치로 적당하다 싶어 생각해 본 거고.
2012/7/4 12:13 오후
2012/7/4 12:13 오후

@GrooveCube 듣고 보던 것만 소비하게 되는 것과 음원사업을 사회화 시키자는 것과는 좀 다른 문제인 것 같은데요. 민간 영역에서 음원사업을 하고 있는 지금도 듣고 보던 것만 소비하는 경향은 강하지 않나용 ㅎ @havaqquq
2012/7/4 12:25 오후
2012/7/4 12:25 오후
@danpyunsun @HAVAQQUQ 그런 경향이 더 심해질것 같다는….의외로 사람들은 떠먹여주지 않으면 새로운걸 잘 안받아들이는데 그 역할을 자본이 해왔고, 그게 사라지면 그나마 받아먹던것도 안먹게될 공산이 크죠..(자본을 옹호하는건 물론 아니고)
2012/7/4 12:27 오후
2012/7/4 12:27 오후

@GrooveCube @danpyunsun 해외는 디지털 콘텐츠 시장이 재편되면서 큐레이션 시장(기술을 이용한 개인화든 개인이 직접 하는 큐레이션이든 소셜네트워크 기반이든)이 크게 발달했는데 이러한 환경이 뒷받침되면 한국도 같은 절차를 밟지 않을까
2012/7/4 12:38 오후
2012/7/4 12:38 오후

@GrooveCube 저는 국가 내지는 사회와 아티스트가 직거래하는 모델로 음원시장이 재편된다해도 레이블이 없어질 가능성은 없다 생각하는데, 당연히 레이블 단위에서도 직거래가 가능할 것이기 때문. @havaqquq
2012/7/4 12:27 오후
2012/7/4 12:27 오후

@GrooveCube (1) 요건 그냥 간단한 문제인데, 정부에선 음악이 공공재라고 주장하면서 실제론 민간영역에 공공재 공급의 역할을 떠넘기고 있으니 당연히 비효율적일 수밖에 없고, @havaqquq
2012/7/4 12:30 오후
2012/7/4 12:30 오후

@GrooveCube (2)이 따위로 하려면 차라리 국가와 시민사회 영역(이를테면 지금의 독립제작자협회 같은)에서 거버넌스를 구성해 비영리사업을 하는게 지금보다는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더욱 평등하게 음원을 제공할 수도 있을 거란 것. @havaqquq
2012/7/4 12:32 오후
2012/7/4 12:32 오후

@groovecube @danpyunsun @havaqquq 온라인 음악산업 관련해서는 이미 국가의 개입이 꽤 크고, 그 개입에 의해 현재의 시스템이 가고 있어요. 그런 국가에서 콘텐츠 마켓을 운영한다고 생각하면 아~ 시망입니다;;
2012/7/4 12:48 오후
2012/7/4 12:48 오후

@electric_muse @groovecube @danpyunsun 차라리 국가로 이관하는 편이 더 낫지 않을까였는데, 일단 제가 상정한 국가가 지나치게 이상적인 국가였던 듯 그러고보니 '소비자'나 '국민'이나 봉이긴 마찬가지군요 ㅎ
2012/7/4 12:57 오후
2012/7/4 12:57 오후

@havaqquq 선한 국가, 선한 자본 둘 다 신기루같은 것일 테니 현업에 있는 사람들이 싸워서 시스템을 합리적으로 만드는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해요. 좋은 얼터너티브를 만드는 것도 좋구요. @groovecube @danpyunsun
2012/7/4 1:08 오후
2012/7/4 1:08 오후
남들이 나눈 대화지만 트위터에서 하신 얘기니 읽어도 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또 보게 에디토이에 추림. 결론은 현시창......
적어도, 상상력에라도 자유를 달라. ㅠㅠㅠㅠ
Login to comment
goodhyun
7/9 '12
answered


Login to comment
음원을 많이 구입하지는 않습니다만, 사용하는 애플 디바이스가 늘어나면서 관리의 편의상 아이튠즈에서 구입하다보니 아쉬움이 많네요. 컨텐츠 생산자들이 그것만으로 생활이 가능한 잉여로운 세상을 꿈꿔봅니다 ㅋ